| 72. 다음은 지대 및 지가이론에 관한 기술이다. 적절치 아니한 것은? |
| ① |
지대론에 관한 논쟁은 지대가 토지로부터 생산된 재화의 가격에 영향을 주는 생산비 즉, 비용이냐 아니냐의 핵심을 두고 있다. |
| ② |
고전학파는 토지를 자본과 구별하지 않았으며, 토지의 자연적 특성을 강조하고, 지대를 불로소득으로 간주했다. |
| ③ |
신고전학파는 지대는 잉여가 아니라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이므로 지대는 생산물 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파악하였다. |
| ④ |
마르크스의 절대지대설에 따르면 지대는 토지소유자가 토지를 소유하는 그 자체로 인하여 발생하며, 따라서 한계지 밖에서도 토지소유자가 요구하면 지대가 발생한다. |
| ⑤ |
리카아도의 차액지대설에 의하면 곡물수요의 증가가 재배면적을 확대하게 되며, 이 경우 비옥도와 위치에 있어서 열등지와 우등지가 발생하게 되는 바, 지대는 한계지를 기준으로 하여 이보다 생산력이 높은 토지에 대한 대가를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