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6. 다음은 입지이론을 설명한 것이다. 맞는 것은? |
| ① |
농업입지이론으로 튀넨의 고립국이론 : 토지이용의 양태는 경작농산물의 생산비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하고, 중심시장으로부터의 거리에 의한 동심원 지대 모델을 제시하였다. |
| ② |
상업입지이론으로 크리스탈러의 중심지이론 : 중심지 계층간의 포섭원리로서 중심지는 중심성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고차 중심지와 저차 중심지로 구분되며, 고차일수록 저차보다 중심지 간의 거리가 더 멀고 규모가 크며 다양한 중심기능을 가진다. |
| ③ |
상업입지이론으로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 : 두 도시의 상거래흡인력은 인구에 반비례하고 두 도시 분기점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
| ④ |
공업입지이론으로 베버의 최소비용이론 : 산업입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송비, 임금, 집접력 등인데 그 중에서 집적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 ⑤ |
상업입지이론으로 허프의 중심지 이론 : 소비자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 상품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적당한 거리에 고차원 중심지가 있어도 인근의 저차원 중심지를 선택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