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 민법총칙 - 조건과 기한 총회 학습(오답) Q. 다음 중 조건을 붙일 수 있는 것은? 70. 다음 중 조건을 붙일 수 있는 것은? ① 상속의 포기 ② 어음행위 ③ 해제 ④ 유증 ⑤ 취소 정답체크 1번 2번 3번 4번 5번 확인 해설보기 ④ 유증 번호구분내용1사례 만들기 2근거조문/이론제1073조(유언의 효력발생시기) ①유언은 유언자가 사망한 때로부터 그 효력이 생긴다.②유언에 정지조건이 있는 경우에 그 조건이 유언자의 사망후에 성취한 때에는 그 조건성취한 때로부터 유언의 효력이 생긴다.3요건 4핵심단어 이해 5문장 만들기 6판례 7함정 8출제자 의도 9틀리는 이유 10솔루션④ 유증도 단독행위이기는 하지만 수증자에게 오직 이익이 있을 뿐이므로 조건을 붙여도 무방하다 함이 통설이다. □조건을 붙일 수 없는 법률행위1. 단독행위 - 예외적으로 상대방에게 이익을 줄 뿐 손해를 주지 않거나, 상대방의 동의를 얻어서 조건을 붙이는 단독행위는 가능(유언, 유증, 채무면제 등)2. 신분행위 스크랩 다음문제 이전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