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공인중개사 문제은행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상업입지이론
문제은행 19-11-05 14:30 조회(3,318)

1. 크리스탈러의 중심지이론

  - 재화의 도달거리와 최소요구치와의 관계를 통해 도시의 수와 규모, 분포, 기능 등을 설명하는 이론

  - 취락의 분포유형, 쇼핑형태, 도시의 규모나 분포의 계층유형을 연구하는 데 이용된다.

 

  1) 가정

    (1) 중심지에서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든지 이동에 따른 장애물이 없다.

    (2) 모든 지역의 교통수단은 동일하고 운송비는 거리에 비례한다.

    (3) 인구는 모든 지역에 균등하게 분포하며,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어느 지역이든 동일하다.

    (4)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합리적 경제인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중심지로 이동하여 소비한다.

 

  2) 중심지의 성립조건 : 최소요구치 < 재화의 도달범위

    - 중심지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최소요구치의 지역범위가 재화의 도달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1) 중심지란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ㆍ공급하는 도시의 중심을 말한다.

    (2) 최소요구치란 중심지 기능이 유지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상권의 범위, 즉 중심지 기능이 유지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수요를 말한다.

    (3) 재화의 도달범위

      ① 중심지가 재화와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최대의 지역범위를 말한다.

      ② 중심지 기능의 영향을 받는 공간적 한계 거리로 판매량 또는 수요량이 0이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

 

  3) 이상적인 배후지의 형성과정

    - 단일의 중심지일 경우에는 원형으로 배후지가 형성되는것이 이상적이며, 다수의 중심지일 경우에는 중심지 사이의 경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육각형 구조로 배후지가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4) 중심지이론의 주요내용

    (1) 중심지 계층 간의 포섭원리로서 중심지는 중심성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고차 중심지와 저차 중심지로 구분

    (2) 고차 중심지일수록 규모가 더 커지고 다양한 중심기능을 갖는다.

    (3) 고차 중심지일수록 중심지 간의 거리가 더 멀고, 저차 중심지일수록 중심지 간의 거리는 가깝다.

    (4) 저차 중심지에서 고차 중심지로 갈수록 중심지의 수는 피라미드형을 이룬다.

    (5) 자동차교통이 발달하면 고차 중심지는 발달하고 저차 중심지는 쇠퇴하게 된다.

    (6) 인구밀도 증가하고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 새로운 중심지가 형성되고 중심지의 간격은 좁아진다.

 

  5) 중심지이론의 문제점

    - 지역에 따라 지형적인 특성이나 정치적ㆍ역사적인 배경 등이 다르며 인구밀도에도 차이가 있고 소득수준에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배후지의 모습은 정육각형이 아니라 천차만별이다.



2.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

  - 두 도시 사이에 존재하는 소비자들에 대하여 두 도시가 미치는 상권의 범위와 경계를 설명하는 이론

 

  1) 중력이론을 이용하여 상권의 범위를 확정하는 모형

 

  2) 두 도시의 상권이 미치는 범위는 두 도시의 크기(인구)에 비례하며,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 유인력(흡인력) = A / Dⁿ
A 상가의 면적(㎡), D 거주지로 부터 거리(Km), ⁿ 공간마찰계수(양수)


  3) A도시와 B도시의 크기가 같다면 두 도시 간의 상권의 경계는 중간지점이 된다.

 

  4) A도시가 B도시보다 크다면 상권의 경계는 크기가 작은 B도시 쪽에 더 가깝게 결정된다.

 

 

3. 컨버스의 분기점모형


  1)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을 응용하여 두 도시간의 상권의 경계를 계산

 

  2) 상권의 경계점은 두 도시가 미치는 구매영향력이 같은 지점이 된다.

  111.png

 

 

4. 허프의 확률적 상권모형

  - 구매중심점이 여러 곳에 존재하는 대도시의 쇼핑 패턴을 결정하는 모형

  - 중심지이론, 확률모델, 중력모형, 소매지역 이론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1) 주요 내용

    (1) 소비자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 상품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다.

    (2) 중심의 크기가 같다면 거리가 가까운 곳에서 상품을 구매한다.

    (3) 같은 거리이면 중심지가 큰 곳에서 상품을 구매한다.

    (4) 적당한 거리에 고차원중심지가 있으면 인근의 저차원중심지를 지나칠 가능성이 커진다.

    (5) 고차원계층일수록 수송가능성은 더욱 확대된다.

 

  2) 소비자에 대한 유인력

    (1) 소비자에 대한 유인력은 상점의 규모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단, 거리마찰계수는 2)

      ⇒ 유인력 = 상점의 규모 / 거리²

    (2) 소비자에 대한 유인력은 상점의 규모가 클수록, 거리가 가까울수록 커진다.

    (3) 소비자가 특정지역의 쇼핑센터에 갈 확률은 쇼핑센터까지의 거리, 경쟁쇼핑센터의 수, 쇼핑센터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5. 넬슨의 소매입지이론

  - 점포의 경영주체가 최대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매출고를 확보하기 위하여 어떠한 장소에 입지하여야 하는가에 대하여 8가지 원칙을 제시하였다.

  - 이 중 양립성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 양립성이란 보완재를 취급하는 서로 다른 인접점포 간에 고객을 주고받는 현상을 의미한다.

 

  1) 현재의 지역후보의 적합지점

 

  2) 잠재적 발전성

 

  3) 고객의 중간유인

 

  4) 상거래 지역에 대한 적합지점

 

  5) 집중흡입력

 

  6) 양립성

 

  7) 경합성의 최소화

 

  8) 용지경제학



6. 후버의 입지효과 시간법칙

  - 좋은 상업입지는 투자한 자본과 노력에 대하여 충분한 이익을 확보해 준다.

  - 입지효과는 개점과 더불어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나타난다.

추천 0 비추천 0
전체댓글수 (0)

 

핵심요약정리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7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부동산가격공시제도 -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11-05 4500
7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부동산가격공시제도 -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의 공시 11-05 5168
6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부동산가격공시제도 - 주택가격의 공시 11-05 4775
6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부동산가격공시제도 - 지가의 공시 11-05 3785
6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물건별 감정평가 방법 11-05 3353
6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수익방식(수익환원법, 수익분석법) 11-05 4568
6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비교방식(공시지가기준법, 임대사례비교법) 11-05 4065
6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비교방식(거래사례비교법) 11-05 3814
6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원가방식(적산법) 11-05 4618
6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원가방식(원가법) 11-05 4909
6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감정평가 3방식 11-05 4072
6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 지역분석 및 개별분석 11-05 4295
5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 부동산 가격의 제 원칙 11-05 4665
5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 부동산의 가치와 가격 11-05 4374
5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 감정평가의 분류 11-05 3805
5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 감정평가 기초이론 11-05 3645
5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마케팅 - 부동산 마케팅 및 광고 11-05 2910
5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관리 - 부동산 유지활동 및 건물의 생애주기 11-05 3656
5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관리 - 부동산 관리 11-05 4085
5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이용 및 개발 - 부동산개발의 분류 및 입지계수 11-05 4026
5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이용 및 개발 - 부동산 개발 11-05 4970
5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이용 및 개발 - 부동산 이용 11-05 3892
4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프로젝트 파이낸싱 11-05 2709
4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부동산 투자회사법 11-05 4349
4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부동산 투자회사제도 11-05 3586
4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주택연금상품 11-05 4206
4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보금자리론 상품 등 11-05 4791
4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한국주택금융공사 11-05 3257
4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주택저당채권유동화제도 11-05 3624
4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부동산유동화 제도 11-05 3739
4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주택담보대출의 상환방식 및 최대 대출가능금액 산정 11-05 3822
4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주택담보대출 11-05 4424
3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부동산 금융 11-05 3333
3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분석 및 기법 - 비할인현금수지분석법, 어림셈법, 비율분석법 11-05 3782
3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분석 및 기법 - 투자의 타당성분석(할인현금수지분석법) 11-05 3784
3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분석 및 기법 - 현금흐름 예측 및 분석 11-05 3472
3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분석 및 기법 - 화폐의 시간가치 11-05 3811
3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이론 - 포트폴리오 이론 11-05 4106
3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이론 - 부동산 투자의 위험과 수익 11-05 4416
3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이론 - 부동산 투자와 투기 11-05 3706
3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정책론 - 부동산 조세정책 - 조세정책 11-05 3672
3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정책론 - 주택정책 - 주택정책 11-05 3861
2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정책론 - 토지정책 - 토지정책 11-05 5051
2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정책론 - 부동산정책의 의의 및 기능 - 외부효과 11-05 4192
2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정책론 - 부동산정책의 의의 및 기능 - 부동산 문제와 정책 11-05 4347
2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주거입지 11-05 2983
열람중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상업입지이론 11-05 3319
2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상업입지 11-05 3835
2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공업입지이론 11-05 3028
2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입지론의 의의 11-05 3850
2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도시공간구조이론 11-05 3322
2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지대 및 지가이론 댓글(4) 11-05 4662
1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부동산 시장 - 효율적 시장 11-05 4180
1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부동산 시장 - 주택시장의 분석 11-05 4073
1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부동산 시장 - 부동산 시장의 의의 및 특성 댓글(1) 11-05 4039
1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경기변동 - 부동산 경기변동 댓글(1) 11-05 3675
1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 가격이론 - 거미집 이론 댓글(1) 11-05 3402
1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탄력성의 크기에 따른 균형의 변화 11-05 3406
1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공급의 탄력성 댓글(1) 11-05 4084
1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수요의 탄력성 11-05 4341
1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수요와 공급의 균형 11-05 3171
1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부동산 공급 11-05 5352
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부동산 수요 11-05 6001
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특성(속성) - 토지의 특성 11-05 5418
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특성(속성) - 부동산의 속성 11-05 4680
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건물의 분류 11-05 3668
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부동산 활동상에 따른 토지의 분류 11-05 5875
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용도지역에 따른 분류 11-05 4842
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지목에 따른 토지의 분류 11-05 5191
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부동산의 개념 댓글(2) 11-05 5402
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부동산학의 이해 댓글(8) 11-05 19622
게시물 검색
올비즈소프트 | 박진오 |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424번길 72, 1209호(운서동, IBC 디오빌) | 사업자 : 217-01-58067 | 통신판매 : 2025-인천중구-0181호 |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버전
Copyright © 2014~2025 올비즈소프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