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회원가입- 공인중개사 문제은행 > 핵심요약정리
|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경기변동 - 부동산 경기변동 | |||||||||||||||||||||||||||||||||||||||||
|---|---|---|---|---|---|---|---|---|---|---|---|---|---|---|---|---|---|---|---|---|---|---|---|---|---|---|---|---|---|---|---|---|---|---|---|---|---|---|---|---|---|
| 문제은행 19-11-05 14:26 | 조회(3,674) | ||||||||||||||||||||||||||||||||||||||||
|
1. 인플레이션 등 1) 인플레이션 :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으로 간단히 물가상승이라고도 한다. (1) 화폐자산의 가치는 하락하나, 실물자산의 가치는 상승한다. (2) 예금이나 채권 등의 자산 보유자는 손해를 보게 되나, 부동산 등 실물자산 보유자는 이익을 보게 된다. (3) 실물자산인 부동산의 가치가 상승하므로 인플레위험에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다.(인플레이션 헷지) (4) 고정금리 차입자 또는 채무자는 이익을 보게 되므로, 대출자는 인플레이션 위험을 차입자에게 전가시키기 위하여 변동금리상품을 판매하고자 한다.
2) 디플레이션 :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함과 동시에 경기후퇴나 불황을 동반하는 상태를 말한다.
3)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후퇴나 불황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상태를 말한다.
2. 부동산 경기변동의 형태 1) 순환변동 : 회복기, 호경기, 후퇴기, 불경기의 국면을 주기적으로 반복
2) 계절적 변동 : 계절적인 변화나 사회관습에 따라 거의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단기적인 변동 (1) 대학교 근처의 임대주택이 방학을 주기로 공실률이 높아지는 현상 (2) 봄이나 가을에 반복적으로 주택의 거래가 증가하는 현상 (3) 겨울철 건설공사의 감소현상 등
3) 무작위적(불규칙) 변동 : 예기치 못한 사태(자연재해, 정책 등)로 인해 초래되는 비주기적 변동
4) 추세(장기적) 변동 : 통상 50년 또는 그 이상의 주기를 가지고 부동산 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3. 부동산 경기변동의 특징 1) 지역적이며 개별적인 현상을 나타낸다.
2) 일반경기에 비해 순환주기가 2배 정도 길다.
3) 일반경기에 비해 순환진폭의 크기가 더 크다.
4) 주거용 부동산의 경기는 일반 경기와 반대되는 역순환적 현상을 보인다.
5) 일반경기에 비해 회복기간은 길지만 후퇴 기간은 짧다.
6) 주기의 순환국면이 불규칙적이고 불명확하게 나타난다.
7) 일반경기에 비해 시간적으로 뒤지는 경향이 있다. 즉 부동산 경기는 타성기간이 길다.
4. 순환국면에 따른 부동산 경기의 특징
5. 부동산 경기변동의 측정지표 1) 부동산 건축량 : 건축허가량, 건축착공량, 건축완공량 등
2) 부동산 거래량 : 등기신청건수, 취득세 납부실적 등
3) 부동산의 가격변동 지표
4) 택지의 분양실적
5) 공가ㆍ공실률, 부동산 임료 수준
6) 주택금융상태, 대출실적 등
추천 0 비추천 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