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공인중개사 문제은행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분석 및 기법 - 비할인현금수지분석법, 어림셈법, 비율분석법
문제은행 19-11-05 14:36 조회(3,788)

1. 비할인현금수지분석법

 

  1) 의의

    -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단순회수기간법, 회계적이익률법 등이 해당된다.

 

  2) 단순회수기간법

    - 회수기간을 기업에서 정한 목표 회수기간과 비교하여 투자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

    (1) 회수기간

      ① 회수기간은 연단위로 나타내며, 투자 시 사용된 전체비용을 회수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을 의미한다.

      ②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않고 투자한 금액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분석한다.

      ③ 회수기간이 짧을수록 안전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회수기간은 짧을수록 유리하다.

    (2) 의사결정

      ① 회수기간 ≤ 목표 회수기간 ⇒ 투자 채택, 회수기간 > 목표 회수기간 ⇒ 투자 기각

      ② 상호배타적인 복수의 투자안이 있을 때 회수기간이 가장 짧은 투자안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3) 장ㆍ단점

      ① 계산이 간편하고, 이해하기가 쉽다.

      ②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못한다.

      ③ 회수기간 이후의 현금흐름을 고려하지 못한다.

 

  3) 회계적 이익률법(ARR법)

    - 회계적 이익률을 기업에서 정한 목표이익률과 비교하여 투자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

    (1) 회계적 이익률

      ① 연평균 투자액에 대한 연평균 순이익의 비율로 연평균 순이익을 연평균 투자액으로 나눈 비율

      ② 회계적 이익률 = 연평균순이익 / 연평균투자액

    (2) 의사결정

      ① 회계적 이익률 ≥ 목표이익률 ⇒ 투자 채택, 회계적 이익률 < 목표이익률 ⇒ 투자 기각

      ② 상호 배타적인 복수의 투자안이 있을 때 회계적 이익률이 가장 큰 투자안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3) 장ㆍ단점

      ① 계산이 간편하고 이해하기가 쉽다.

      ② 연평균 순이익은 회계장부상의 자료를 통하여 쉽게 취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③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못한다.

      ④ 회계적 이익률은 부동산의 현금흐름을 반영하지 못한다.



2. 어림셈법

 

  1) 의의

    (1) 투자 첫해에 발생한 여러 종류의 현금수지를 승수(승수법) 또는 수익률(수익률법)로 표시

    (2)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않는다.

    (3) 승수는 작을수록 유리하며, 수익률은 클수록 유리하다.

 

  2) 승수법 : 현금수지를 승수의 형태로 표시

    (1) 조소득승수 : 조소득에 대한 총투자액의 배수

        - 조소득승수 = 총투자액 / 조소득

    (2) 순소득승수 : 순영업소득에 대한 총투자액의 배수(자본회수기간)

        - 순소득승수 = 총투자액 / 순영업소득

    (3) 세전현금수지승수 : 세전현금수지에 대한 지분투자액의 배수

        - 세전현금수지승수 = 지분투자액 / 세전현금수지(순영업소득-부채서비스액)

    (4) 세후현금수지승수 : 세후현금수지에 대한 지분투자액의 배수

        - 세후현금수지승수 = 지분투자액 / 세후현금수지

 

  3) 수익률법

    (1) 종합자본환원률 : 순소득승수의 역수

        - 종합자본환원룔 = 순영업소득 / 총투자액

    (2) 지분배당률(세전수익률) : 세전현금수지승수의 역수

        - 지분배당률 = 세전현금수지 / 지분투자액

    (3) 세후수익률 : 세후현금수지승수의 역수

        - 세후수익률 = 세후현금수지 / 지분투자액

 

 

3. 비율분석법

 

  1) 대부비율(LTV) : 부동산의 가치에 대한 융자금액의 비율

     - 대부비율 = 융자금액 / 부동산의 가치

     - LTV(Loan to Value : 대부비율 or 주택담보대출비율 or 담보인정비율)

    (1) 대부비율이 높을수록 부동산의 수요는 증가한다.

    (2) 대부비율이 높을수록 지렛대 효과는 커지지만, 채무불이행 위험도 커진다.

    (3) 대부비율이 높을수록 부채비율은 급격히 증가한다.

    (4) 부동산 가치가 하락하면 100%를 초과할 수도 있다.

 

  2) 부채비율 : 자기자본에 대한 타인자본의 비율

     - 부채비율 = 타인자본 / 자기자본

 

  3) 부채감당률 : 순영업소득이 부채서비스액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비율

     - 부채감당률 = 순영업소득 / 부채서비스액

    (1) 채무자의 채무상환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2) 부채감당률 > 1 : 순영업소득으로 채무의 원리금을 모두 상환하고 잔여액이 남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3) 부채감당률 < 1 : 순영업소득이 매 기간의 원리금 상환액을 감당하기에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4) 부채감당률이 클수록 채무불이행의 가능성은 작아지므로 부채의 안전도를 분석할 수 있다.

 

  4) 채무불이행률 : 유효조소득이 영업경비와 부채서비스액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를 측정하는 지표

     - 채무불이행률 = 영업경비 +부채서비스액 / 유효조소득

 

  5) 총자산회전율 : 투자된 총자산에 대한 조소득의 비율로 조소득승수의 역수이다.

     - 총자산회전율 = 조소득 / 총자산

 

  6) 영업경비비율 : 조소득에 대한 영업경비의 비율로 투자부동산의 효율적인 관리나 재무상태를 파악하는 지표

     - 영업경비비율 = 영업경비 / 조소득

 

추천 1 비추천 0
전체댓글수 (0)

 

핵심요약정리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4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부동산 투자회사제도 11-05 3592
4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주택연금상품 11-05 4208
4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보금자리론 상품 등 11-05 4794
4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한국주택금융공사 11-05 3262
4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주택저당채권유동화제도 11-05 3626
4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부동산유동화 제도 11-05 3743
4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주택담보대출의 상환방식 및 최대 대출가능금액 산정 11-05 3826
4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주택담보대출 11-05 4430
3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부동산 금융 11-05 3338
열람중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분석 및 기법 - 비할인현금수지분석법, 어림셈법, 비율분석법 11-05 3789
3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분석 및 기법 - 투자의 타당성분석(할인현금수지분석법) 11-05 3788
3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분석 및 기법 - 현금흐름 예측 및 분석 11-05 3476
3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분석 및 기법 - 화폐의 시간가치 11-05 3816
3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이론 - 포트폴리오 이론 11-05 4109
3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이론 - 부동산 투자의 위험과 수익 11-05 4421
3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이론 - 부동산 투자와 투기 11-05 3710
3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정책론 - 부동산 조세정책 - 조세정책 11-05 3676
3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정책론 - 주택정책 - 주택정책 11-05 3866
2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정책론 - 토지정책 - 토지정책 11-05 5056
2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정책론 - 부동산정책의 의의 및 기능 - 외부효과 11-05 4198
2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정책론 - 부동산정책의 의의 및 기능 - 부동산 문제와 정책 11-05 4351
2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주거입지 11-05 2986
2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상업입지이론 11-05 3323
2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상업입지 11-05 3838
2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공업입지이론 11-05 3031
2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입지론의 의의 11-05 3854
2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도시공간구조이론 11-05 3323
2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지대 및 지가이론 댓글(4) 11-05 4663
1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부동산 시장 - 효율적 시장 11-05 4183
1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부동산 시장 - 주택시장의 분석 11-05 4076
1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부동산 시장 - 부동산 시장의 의의 및 특성 댓글(1) 11-05 4043
1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경기변동 - 부동산 경기변동 댓글(1) 11-05 3678
1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 가격이론 - 거미집 이론 댓글(1) 11-05 3406
1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탄력성의 크기에 따른 균형의 변화 11-05 3410
1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공급의 탄력성 댓글(1) 11-05 4088
1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수요의 탄력성 11-05 4344
1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수요와 공급의 균형 11-05 3175
1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부동산 공급 11-05 5356
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부동산 수요 11-05 6006
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특성(속성) - 토지의 특성 11-05 5425
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특성(속성) - 부동산의 속성 11-05 4686
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건물의 분류 11-05 3673
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부동산 활동상에 따른 토지의 분류 11-05 5884
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용도지역에 따른 분류 11-05 4847
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지목에 따른 토지의 분류 11-05 5198
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부동산의 개념 댓글(2) 11-05 5406
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부동산학의 이해 댓글(8) 11-05 19629
게시물 검색
올비즈소프트 | 박진오 |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424번길 72, 1209호(운서동, IBC 디오빌) | 사업자 : 217-01-58067 | 통신판매 : 2025-인천중구-0181호 |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버전
Copyright © 2014~2025 올비즈소프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