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회원가입- 공인중개사 문제은행 > 핵심요약정리
|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공업입지이론 | |
|---|---|
| 문제은행 19-11-05 14:29 | 조회(3,030) |
|
1. 베버의 최소비용이론 - 최소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곳이 최적의 공업입지이다.
1) 최소비용이론의 가정 (1) 기후나 지형, 경제, 기술 조직 등은 모든 지역이 동일하다. (2) 원료산지와 소비시장은 일정한 곳에 고정되어 있다. (3) 수송비는 원료와 제품의 무게와 수송되어지는 거리에 비례한다. (4) 노동력은 지역적으로 한정되어 있고 비유동적이나 공급은 무제한이다. (5) 임금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6) 생산자는 합리적인 경제인이다.
2) 최소비용이론의 주요내용 (1) 산업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수송비, 노동력, 집적력 중 수송비를가장 중요한 요소로 본다. (2) 다른 비용이 일정한 경우 수송비의 합이 최소인 지점이 최적입지이며, 이를 최소수송비 입지라고 한다. (3) 다음 단계로 저렴한 노동력이 있는 지점을 고려한다.(수송비 증가폭을 노동비 절감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지점) (4) 다음 단계로 집적력, 즉 집적의 이익을 유발시킬 수 있는 지점을 고려한다. (5) 최적의 공업입지는 최소수송비지점→저렴한 노동력이 있는 지점→집적이익을 유발시킬 수 있는 지점 순으로 결정된다.
2. 뢰쉬의 최대수요이론
1) 이윤극대화를 위한 공장의 최적입지는 수요가 최대가 되는 지점이다.
2) 중심지에서 멀어질수록 수요량은 감소하는 데 거리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 부담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3. 공업입지 지향성
1) 수송비 (1) 원료지향형 입지 ① 편재원료를 많이 사용하는 공장 ② 원료지수 > 1, 입지중량 > 2, 중량 감소산업(예:시멘트공업) ③ 부패하기 쉬운 원료를 사용하는 공장 (2) 시장지향형 입지 ① 보편원료를 많이 사용하는 공장 ② 원료지수 < 1, 입지중량 < 2, 중량 증가산업(예:맥주) ③ 완제품의 부패성이 심하거나 파손되기 쉬운 산업 ④ 중간재나 완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⑤ 소비자와의 잦은 접촉을 필요로 하는 산업
※ 원료 및 원료지수 (1) 원료에는 편재원료와 보편원료가 있다. ① 편재원료란 특정지역에 가야만 구할 수 있는 원료로 국지원료라고도 한다. ② 보편원료란 전국 어디에서든지 구할 수 있는 원료를 말한다. (2) 원료지수란 제품의 무게에 대한 편재원료의 무게를 말한다. ① 원료지수 = 편재원료의 무게 / 제품의 무게 ② 원료지수가 1보다 크면 중량감소산업, 1보다 작으면 중량증가산업이다. (3) 입지중량이란 제품의 무게에 대한 편재원료와 제품의 무게의 합을 말한다. ① 입지중량 = 편재원료의 무게 + 제품의 무게 / 제품의 무게 = 원료지수 + 1 ② 입지중량이 2보다 크면 중량감소산업, 2보다 작으면 중량증가산업이다. (4) 원료지수와 입지중량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① 원료지수 > 1, 입지중량 > 2 = 중량감소산업 ⇒ 원료지향형입지 ② 원료지수 < 1, 입지중량 < 2 = 중량증가산업 ⇒ 시장지향형입지
2) 노동력 - 노동집약적 산업, 값싼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산업 등은 노동력이 풍부하여 임금이 저렴한 지역에 입지하는 것을 선호한다.
3) 집적력 - 운송비의 비중이 적고 기술연관성이 높으며 계열화된 산업 등은 집적지역에 입지함으로써 비용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집적지역에 입지하는 것을 선호한다.
추천 1 비추천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