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공인중개사 문제은행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이용 및 개발 - 부동산개발의 분류 및 입지계수
문제은행 19-11-05 14:41 조회(4,031)

1. 공영개발

  - 공공복리의 실현을 위해 토지시장에 공공부문이 직접 개입하여 택지개발의 일익을 담당하는 것

 

  1) 필요성

    (1) 외부효과 등으로 인한 부동산 시장의 실패를 수정하기 위하여 개입한다.

    (2)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입한다.

    (3) 효율성과 형평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개입한다.

 

  2) 택지 공영개발의 장점

    (1) 계획적 토지이용을 통해 공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토지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2) 택지를 저렴하게 대량 공급할 수 있다.

    (3) 개발이익의 사회적 환수가 가능하여 토지의 투기방지와 지가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3) 택지 공영개발의 단점

    (1) 수용방식으로 토지매입과 보상과정에서 사업시행자와 주민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2) 초기에 막대한 토지 구입비용이 들기 때문에 사업시행자가 재정지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

 

 

2. 비공영개발(민간개발)

  - 민간부문에 의한 개발. 자체개발사업, 지주공동사업, 토지신탁방식, 컨소시엄 구성방식 등으로 구분한다.

 

  1) 자체개발사업 : 토지소유자에 의한 개발로 지주에 의한 자력개발방식이다.

    (1) 사업시행, 자금조달의 주체는 토지소유자이며, 개발이익도 토지소유자에게 귀속된다.

    (2) 자기자금과 관리능력이 충분하고 사업성도 양호하다면 자체개발사업이 적합하다.

 

  2) 지주공동사업 : 토지소유자와 개발업자가 공동으로 시행하는 방식

    (1) 공사비 대물변제방식 : 토지소유자가 개발업자에게 대물로 공사비를 변제하는 방식

    (2) 공사비 분양금지급방식 : 토지소유자가 개발업자에게 분양금으로 공사비를 정산하는 방식

    (3) 사업수탁방식

      ① 토지소유자가 개발사업의 일체를 개발업자에게 위임하는 방식이다.

      ② 사업 전반이 토지소유자의 명의로 행해진다.

      ③ 개발업자는 수수료를 받기 때문에 개발이익은 토지소유자에게 귀속된다.

    (4) 신차지방식 : 개발업자가 토지를 임차하여 개발하는 방식

 

  3) 토지(개발)신탁방식

    - 토지소유자가 토지를 신탁회사에 위탁하고, 신탁회사가 자금 조달 및 관리하면서 개발하는 방식

    (1) 신탁회사는 토지소유자와의 약정에 의해 수익증권을 발행한다.

    (2) 토지소유권은 신탁계약기간 동안 신탁회사에 형식적으로나마 이전된다.

    (3) 신탁회사는 토지를 개발한 후 분양하거나 임대하여 그 수익을 수익증권 소유자에게 배당하여 준다.

 

  4) 컨소시엄 구성방식

    - 법인 간에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사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출자회사 간 상호 이해 조정이 필요하다.

 

 

3. 민간투자 사업방식

 

  1)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

    - 사회기반시설의 준공과 동시에 소유권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되며, 사업시행자에게 일정기간의 시설관리운영권을 인정하는 방식.(고속도로, 터널, 항만 등에 적용)

 

  2) BOT(build-operate-transfer) 방식

    - 사회기반시설의 준공 후 일정기간 동안 사업시행자에게 해당시설의 소유권이 인정되며 그 기간이 만료되면 시설소유권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되는 방식

 

  3) BTL(build-transfer-lease) 방식

    - 사회기반시설의 준공과 동시에 해당시설의 소유권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되며 사업시행자에게 일정기간의 시설관리운영권을 인정하되, 그 시설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이 협약에서 정한 기간 동안 임차하여 사용ㆍ수익하는 방식(학교, 공공도서관, 기숙사 등에 적용)

 

  4) BLT(build-lease-transfer) 방식

    - 사회기반시설의 준공 후 일정기간 동안 운영권을 정부에게 임대하고 임대기간 종료 후 시설물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이전하는 방식

 

  5) BOO(build-own-operate) 방식

    - 사회기반시설의 준공과 동시에 사업시행자에게 해당시설의 소유권이 인정되는 방식

 

 

4. 도시재개발의 유형에 따른 분류

 

  1) 수복재개발 : 현재 시설을 대부분 그대로 유지하면서 노후ㆍ불량화의 요인만을 제거하는 재개발의 유형

 

  2) 개량재개발 : 기존 시설의 확장이나 개선 또는 새로운 시설의 첨가를 통하여 기존 물리적 환경의 질적 수준을 높여 도시기능을 제고시키고자 하는 재개발의 유형

 

  3) 보전재개발 : 노후ㆍ불량화가 야기될 우려가 있을 때 사전에 노후ㆍ불량화의 진행을 방지.

 

  4) 철거재개발 : 기존환경을 완전히 제거하고 새로운 시설물로 대체시키는 전형적인 재개발의 유형이다.

 

 

5. 입지계수

 

  1) 입지계수의 의의

    - 일정한 지역이 어떠한 산업에 특화되었는가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은 입지계수를 활용하는 것이다.

   ※ 입지계수 = A산업의 지역 고용률 / A산업의 전국 고용률

   ※ A산업의 지역 고용률 = 특정지역의 A산업에 대한 고용자 수 / 특정지역의 전산업에 대한 고용자 수

   ※ A산업의 전국 고용률 = 국가전체의 A산업에 대한 고용자 수 / 국가전체의 전산업에 대한 고용자 수

 

  2) 입지계수의 활용

    (1) 입지계수(LQ) > 1 인 산업

      - 대상지역의 수출기반산업을 말한다. 전국에 비해 특화되어 있으므로 타 지역으로 수출이 이루어져 지역성장을 이루는 경우를 의미한다.

    (2) 입지계수(LQ) < 1 인 산업

      - 대상지역의 비수출기반산업을 말한다. 전국에 비해 특화되지 못하고 열세적 위치에 있으므로 수입이 증가하고 지역경제는 위축된다.

    (3) 입지계수(LQ) = 1 인 산업

      - 자급자족이 가능한 산업을 말한다. 특정산업의 특화는 전국적 수준이다.

 

추천 0 비추천 0
전체댓글수 (0)

 

핵심요약정리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147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중개업 등 - 표시 · 광고 · 대여 11-07 4086
146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중개업 등 - 등록증의 개시, 명칭 11-07 3460
145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중개업 등 - 겸업제한, 고용인, 인장 11-07 4513
144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중개업 등 - 중개사무소의 설치 11-07 3469
143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중개업 등 - 중개사무소의 개설등록 11-07 4660
142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공인중개사 - 자격시험2 11-07 3173
141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공인중개사 - 자격시험1 11-07 4005
140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공인중개사 - 자격 시험 및 자격증의 교부 11-07 3316
139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총칙 - 공인중개사 정책심의위원회 11-07 3735
138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총칙 - 용어의 정의(중개대상물) 11-07 6381
137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총칙 - 용어의 정의(공인중개사,개업공인중개사 등) 11-07 3908
136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총칙 - 용어의 정의(중개업) 11-07 3771
135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총칙 - 용어의 정의(중개) 11-07 4906
134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 총칙 - 총칙 댓글(1) 11-07 4479
133 [민법] 민사특별법 -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11-06 5489
132 [민법] 민사특별법 -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11-06 5924
131 [민법] 민사특별법 -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 11-06 4649
130 [민법] 민사특별법 -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Ⅱ 11-06 4622
129 [민법] 민사특별법 -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Ⅰ 11-06 4151
128 [민법] 민사특별법 - 주택임대차보호법 - 보증금의 회수 등 11-06 3770
127 [민법] 민사특별법 - 주택임대차보호법 - 적용범위와 대항력 11-06 4401
126 [민법] 계약법 - 임대차 - 임차권의 양도와 임차물의 전대, 보증금 및 권리금 11-06 4088
125 [민법] 계약법 - 임대차 -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 11-06 4307
124 [민법] 계약법 - 임대차 - 임대차 11-06 3880
123 [민법] 계약법 - 계약 각론 - 환매 및 교환 11-06 4638
122 [민법] 계약법 - 계약 각론 - 매도인의 담보책임 11-06 3905
121 [민법] 계약법 - 계약 각론 - 매매 11-06 4202
120 [민법] 계약법 - 총론 - 계약의 해제와 해지 11-06 5471
119 [민법] 계약법 - 총론 - 제3자를 위한 계약 11-06 4051
118 [민법] 계약법 - 총론 - 위험부담 11-06 3360
117 [민법] 계약법 - 총론 - 동시이행의 항변권 11-06 3891
116 [민법] 계약법 - 총론 -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 11-06 3993
115 [민법] 계약법 - 총론 - 계약의 성립 11-06 3041
114 [민법] 계약법 - 총론 - 계약총론 11-06 3884
113 [민법] 물권법 - 담보물권 - 특수한 저당권(근저당, 공동저당) 11-06 4286
112 [민법] 물권법 - 담보물권 - 저당권(일괄경매청구권, 저당물의 제3취득자, 저당권의 침해, 소멸) 11-06 4736
111 [민법] 물권법 - 담보물권 - 저당권의 성립과 효력 11-06 7006
110 [민법] 물권법 - 담보물권 - 유치권 11-06 4443
109 [민법] 물권법 - 담보물권 - 담보물권의 특성과 효력 11-06 5435
108 [민법] 물권법 - 용익물권 - 전세권 11-06 4794
107 [민법] 물권법 - 용익물권 - 지역권 11-06 3222
106 [민법] 물권법 - 용익물권 - 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 등 특수한 지상권 11-06 4489
105 [민법] 물권법 - 용익물권 - 지상권 11-06 5542
104 [민법] 물권법 - 소유권 - 공동소유 11-06 6443
103 [민법] 물권법 - 소유권 - 소유권의 취득(첨부ㆍ부합 등)과 물권적 청구권 11-06 4496
102 [민법] 물권법 - 소유권 - 소유권의 취득 (취득시효) 11-06 4442
101 [민법] 물권법 - 소유권 - 부동산 소유권의 범위 11-06 3425
100 [민법] 물권법 - 점유권 - 점유자와 회복자의 관계 11-06 3613
99 [민법] 물권법 - 점유권 - 점유권의 취득과 효력 11-06 4255
98 [민법] 물권법 - 점유권 - 점유권 11-06 5485
97 [민법] 물권법 - 총칙 - 물권의 소멸 11-06 4185
96 [민법] 물권법 - 총칙 - 동산물권의 변동 11-06 3944
95 [민법] 물권법 - 총칙 - 등기의 추정력 및 가등기 11-06 4430
94 [민법] 물권법 - 총칙 - 물권의 변동 댓글(1) 11-06 5157
93 [민법] 물권법 - 총칙 - 물권의 의의 및 특성, 종류 11-06 4494
92 [민법] 민법총칙 - 조건과 기한 - 법률행위의 부관 11-06 2997
91 [민법] 민법총칙 - 무효와 취소 - 취소 11-06 4269
90 [민법] 민법총칙 - 무효와 취소 - 무효 11-06 4818
89 [민법] 민법총칙 - 대리 - 무권대리(표현대리) 11-06 3723
88 [민법] 민법총칙 - 대리 - 무권대리(협의의 무권대리) 11-06 3502
87 [민법] 민법총칙 - 대리 - 대리행위 11-06 2823
86 [민법] 민법총칙 - 대리 - 대리권 11-06 5226
85 [민법] 민법총칙 - 의사표시 - 의사표시의 효력발생 11-06 3359
84 [민법] 민법총칙 - 의사표시 - 하자 있는 의사표시(사기ㆍ강박) 11-06 3546
83 [민법] 민법총칙 - 의사표시 - 착오로 인한 의사표시 11-06 4650
82 [민법] 민법총칙 - 의사표시 - 통정허위표시 11-06 6597
81 [민법] 민법총칙 - 의사표시 - 진의 아닌 의사표시(비진의표시) 11-06 3076
80 [민법] 민법총칙 - 법률행위 - 법률행위의 해석 11-06 4428
79 [민법] 민법총칙 - 법률행위 - 부동산의 이중매매 11-06 4685
78 [민법] 민법총칙 - 법률행위 - 목적의 사회적 타당성(불공정한 법률행위) 11-06 3924
77 [민법] 민법총칙 - 법률행위 - 목적의 사회적 타당성(반사회질서의 법률행위) 11-06 4500
76 [민법] 민법총칙 - 법률행위 - 법률행위의 목적 11-06 4016
75 [민법] 민법총칙 - 법률행위 - 법률행위의 종류 11-06 4070
74 [민법] 민법총칙 - 법률행위 - 법률행위의 요건 댓글(4) 11-06 4817
73 [민법] 민법총칙 - 법률행위 - 법률행위의 의의 11-06 3522
72 [민법] 민법총칙 - 총칙 - 법률관계와 권리의 변동 댓글(4) 11-06 7696
7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부동산가격공시제도 -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11-05 4505
7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부동산가격공시제도 -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의 공시 11-05 5170
6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부동산가격공시제도 - 주택가격의 공시 11-05 4778
6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부동산가격공시제도 - 지가의 공시 11-05 3789
6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물건별 감정평가 방법 11-05 3354
6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수익방식(수익환원법, 수익분석법) 11-05 4571
6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비교방식(공시지가기준법, 임대사례비교법) 11-05 4068
6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비교방식(거래사례비교법) 11-05 3815
6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원가방식(적산법) 11-05 4620
62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원가방식(원가법) 11-05 4910
6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방식 - 감정평가 3방식 11-05 4074
6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 지역분석 및 개별분석 11-05 4300
5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 부동산 가격의 제 원칙 11-05 4668
5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 부동산의 가치와 가격 11-05 4377
57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 감정평가의 분류 11-05 3810
56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감정평가론 -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 감정평가 기초이론 11-05 3647
55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마케팅 - 부동산 마케팅 및 광고 11-05 2912
5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관리 - 부동산 유지활동 및 건물의 생애주기 11-05 3659
53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관리 - 부동산 관리 11-05 4090
열람중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이용 및 개발 - 부동산개발의 분류 및 입지계수 11-05 4032
51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이용 및 개발 - 부동산 개발 11-05 4974
50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이용 및 개발 - 부동산 이용 11-05 3894
49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프로젝트 파이낸싱 11-05 2712
48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부동산 투자회사법 11-05 4355
게시물 검색
올비즈소프트 | 박진오 |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424번길 72, 1209호(운서동, IBC 디오빌) | 사업자 : 217-01-58067 | 통신판매 : 2025-인천중구-0181호 |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버전
Copyright © 2014~2025 올비즈소프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