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험정보 > 핵심이론 - old
|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관리 - 부동산 유지활동 및 건물의 생애주기 | |
|---|---|
| 문제은행 17-05-02 15:08 | 조회(2,986) |
|
1. 부동산 유지활동 - 대상부동산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막고, 계속적으로 임차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적정 수준의 유지활동을 하여야 한다. 부동산 유지활동에는 일상적 유지활동, 예방적 유지활동, 대응적 유지활동 등이 있다. 이러한 유지활동 중에서도 예방적 유지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 일상적 유지활동 - 통상적으로 늘 수행하는 정기적인 유지활동을 말한다.
2) 예방적 유지활동 - 수립된 유지계획에의하여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교환하고 수리하는 사전적 유지활동
3) 대응적 유지활동 - 문제가 발생하고 난 후 이에 대처하는 사후적 유지활동 2. 부동산 임대차 활동
1) 임차인의 선정기준 (1) 주거용 부동산 : 유대성, 연대성 (2) 상업용 부동산 : 가능 매상고 (3) 사무용, 공업용 부동산 : 적합성
2) 임대차계약의 유형 (1) 조임대차 - 순임대료와 영업경비를 포함하여 총임대료를 지불하는 임대차계약으로 주거용부동산에 주로 적용 (2) 순임대차 - 순임대료만을 지불하고 영업경비는 임대인과의 협의에 의하는 임대차계약으로 공업용부동산에 주로 적용 (3) 비율임대차 - 매출액의 일정비율을 임대료로 지불하는 임대차계약으로 매장용부동산에 주로 적용
3. 건물의 생애주기
1) 건물의 내용연수 : 일반적으로 건물의 수명을 말한다. (1) 물리적 내용연수 - 건물의 이용으로 생기는 마멸이나 파손 등으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버팀 연수 (2) 가능적 내용연수 - 건물이 기능적으로 유효한 기간 (3) 경제적 내용연수 - 경제적 수명이 다하기까지의 버팀 연수
2) 건물의 생애주기 - 건물이 토지상에서 배타적 공간으로서 지니는 일생을 말한다. (1) 전 개발단계 - 건물을 신축하기 전 용지상태에 있는 단계로 용지상태에서 신축계획을 수립한다. (2) 신축단계 - 건물이 새로 태어나는 단계로 건물의 물리적ㆍ기능적 유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3) 안정단계 ① 건물이 제 기능을 발휘하며 본격적으로 운영ㆍ이용되고 장기적으로 안정되는 단계. ② 건물이 존속하는 기간 중 가장 장기간에 이르며, 경제적 유용성도 가장 높게 나타난다. ③ 자본적 지출을 행하는 것이 유익한 단계로 구조의 일부를 개조ㆍ수선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4) 노후단계 - 건물이 물리적으로 노후화 되는 단계로 유지ㆍ보수비용 지출을 억제한다. (5) 완전폐물단계 - 물리적ㆍ경제적으로 쓸모가 없어지는 단계로 건물의 교체를 전제로 전 개발단계를 향해 일이 전개된다.
3) 생애주기비용 (1) 생애주기비용은 건물의 유용성에 비하여 적게 드는 것이 유리하다. (2) 생애주기비용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관리유지비용이다. (3) 관리유지비용이 적게 드는 건물을 신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4)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통하여 초기투자비와 관리유지비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보유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총비용을 관리할 수 있다.
추천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