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험정보 > 핵심이론 - old
|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주거입지 | |
|---|---|
| 문제은행 17-03-11 16:02 | 조회(1,900) |
|
1. 주거지의 입지조건 - 주거지의 유용성은 쾌적성과 편리성에 있다.
1) 주거지의 입지조건 (1) 자연적 조건에는 지형이나 지세, 지질, 지반의 상태, 기상조건 등 (2) 인문적 조건에는 도로 및 교통조건, 공공시설의 정비상태, 공해시설ㆍ위험시설 등의 유무, 공법상의 규제 등
2) 주거지의 지역요인 (1) 지역의 기상상태 (2) 사회적 환경의 양부(주거자의 직업, 계층 등) (3) 도심과의 접근성(거리) 및 교통수단 (4) 상점가ㆍ학교ㆍ병원ㆍ공원 등 공공시설, 공익시설, 편익시설 등의 배치상태 (5) 상하수도ㆍ가스ㆍ전기 등의 공급 및 처리시설의 상태 (6) 위험ㆍ혐오시설의 유무, 소음ㆍ대기오염 등의 공해 발생상태 (7) 가로의 폭ㆍ구조 등의 상태 등
2. 최적의 주거입지 1) 전제조건 (1) 어떤 동질적인 평면상의 하나의 중심이 있고 모든 기업들은 이 중심에 위치한다. (2) 개별가구는 주어진 제약조건하에서 최대의 효용을 얻을 수 있는 곳에 입지한다. (3) 주어진 제약조건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개별가구의 소득이다.
2) 최적의 주거입지 결정 - 주거비용은 도심에서 외곽으로 이동할수록 감소하고, 교통비용은 도심에서 외곽으로 이동할수록 증가한다. - 최적의 주거입지 문제는 주거비용과 교통비용을 결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1) 한계주거비용과 한계교통비용 ① 한계주거비용은 도심에서 외곽으로 이동함에 따른 단위거리(1km)당 주거비의 감소분을 말한다. ② 한계교통비용은 도심에서 외곽으로 이동함에 따른 단위거리(1km)당 교통비의 증가분을 말한다. (2) 한계주거비용곡선과 한계교통비용곡선 ① 한계주거비용곡선과 한계교통비용곡선은 우하향한다. ② 도심에 가까울수록 단위거리당 교통비용이 높고 외곽으로 갈수록 교통비용이 낮다. ③ 한계주거비용의 기울기가 한계교통비용곡선의 기울기보다 가파르다.
3) 최적의 주거입지 - 최적의 주거입지는 한계주거비용과 한계교통비용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
4) 최적의 주거입지의 이동 (1) 소득의 증가는 한계주거비용곡선을 우측으로 상향이동시키므로, 최적의 주거입지는 외곽으로 이동한다. (2) 교통비의 증가는 한계교통비용곡선을 우측으로 상향이동시키므로, 최적의 주거입지는 도심 쪽으로 이동한다. (3) 교통비의 감소는 한계교통비용곡선을 좌측으로 하향이동시키므로, 최적의 주거입지는 외곽으로 이동한다.
추천 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