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수험정보
사이트정보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상업입지이론
문제은행 17-03-11 15:32 조회(2,026)

1. 크리스탈러의 중심지이론

  - 재화의 도달거리와 최소요구치와의 관계를 통해 도시의 수와 규모, 분포, 기능 등을 설명하는 이론

  - 취락의 분포유형, 쇼핑형태, 도시의 규모나 분포의 계층유형을 연구하는 데 이용된다.

 

  1) 가정

    (1) 중심지에서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든지 이동에 따른 장애물이 없다.

    (2) 모든 지역의 교통수단은 동일하고 운송비는 거리에 비례한다.

    (3) 인구는 모든 지역에 균등하게 분포하며,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어느 지역이든 동일하다.

    (4)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합리적 경제인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중심지로 이동하여 소비한다.

 

  2) 중심지의 성립조건 : 최소요구치 < 재화의 도달범위

    - 중심지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최소요구치의 지역범위가 재화의 도달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1) 중심지란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ㆍ공급하는 도시의 중심을 말한다.

    (2) 최소요구치란 중심지 기능이 유지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상권의 범위, 즉 중심지 기능이 유지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수요를 말한다.

    (3) 재화의 도달범위

      ① 중심지가 재화와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최대의 지역범위를 말한다.

      ② 중심지 기능의 영향을 받는 공간적 한계 거리로 판매량 또는 수요량이 0이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

 

  3) 이상적인 배후지의 형성과정

    - 단일의 중심지일 경우에는 원형으로 배후지가 형성되는것이 이상적이며, 다수의 중심지일 경우에는 중심지 사이의 경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육각형 구조로 배후지가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4) 중심지이론의 주요내용

    (1) 중심지 계층 간의 포섭원리로서 중심지는 중심성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고차 중심지와 저차 중심지로 구분

    (2) 고차 중심지일수록 규모가 더 커지고 다양한 중심기능을 갖는다.

    (3) 고차 중심지일수록 중심지 간의 거리가 더 멀고, 저차 중심지일수록 중심지 간의 거리는 가깝다.

    (4) 저차 중심지에서 고차 중심지로 갈수록 중심지의 수는 피라미드형을 이룬다.

    (5) 자동차교통이 발달하면 고차 중심지는 발달하고 저차 중심지는 쇠퇴하게 된다.

    (6) 인구밀도 증가하고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 새로운 중심지가 형성되고 중심지의 간격은 좁아진다.

 

  5) 중심지이론의 문제점

    - 지역에 따라 지형적인 특성이나 정치적ㆍ역사적인 배경 등이 다르며 인구밀도에도 차이가 있고 소득수준에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배후지의 모습은 정육각형이 아니라 천차만별이다.



2.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

  - 두 도시 사이에 존재하는 소비자들에 대하여 두 도시가 미치는 상권의 범위와 경계를 설명하는 이론

 

  1) 중력이론을 이용하여 상권의 범위를 확정하는 모형

 

  2) 두 도시의 상권이 미치는 범위는 두 도시의 크기(인구)에 비례하며,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 유인력 = 인구 / 거리²


  3) A도시와 B도시의 크기가 같다면 두 도시 간의 상권의 경계는 중간지점이 된다.

 

  4) A도시가 B도시보다 크다면 상권의 경계는 크기가 작은 B도시 쪽에 더 가깝게 결정된다.

 

 

3. 컨버스의 분기점모형


  1)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을 응용하여 두 도시간의 상권의 경계를 계산

 

  2) 상권의 경계점은 두 도시가 미치는 구매영향력이 같은 지점이 된다.

  111.png

 

 

4. 허프의 확률적 상권모형

  - 구매중심점이 여러 곳에 존재하는 대도시의 쇼핑 패턴을 결정하는 모형

  - 중심지이론, 확률모델, 중력모형, 소매지역 이론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1) 주요 내용

    (1) 소비자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 상품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다.

    (2) 중심의 크기가 같다면 거리가 가까운 곳에서 상품을 구매한다.

    (3) 같은 거리이면 중심지가 큰 곳에서 상품을 구매한다.

    (4) 적당한 거리에 고차원중심지가 있으면 인근의 저차원중심지를 지나칠 가능성이 커진다.

    (5) 고차원계층일수록 수송가능성은 더욱 확대된다.

 

  2) 소비자에 대한 유인력

    (1) 소비자에 대한 유인력은 상점의 규모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단, 거리마찰계수는 2)

      ⇒ 유인력 = 상점의 규모 / 거리²

    (2) 소비자에 대한 유인력은 상점의 규모가 클수록, 거리가 가까울수록 커진다.

    (3) 소비자가 특정지역의 쇼핑센터에 갈 확률은 쇼핑센터까지의 거리, 경쟁쇼핑센터의 수, 쇼핑센터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5. 넬슨의 소매입지이론

  - 점포의 경영주체가 최대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매출고를 확보하기 위하여 어떠한 장소에 입지하여야 하는가에 대하여 8가지 원칙을 제시하였다.

  - 이 중 양립성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 양립성이란 보완재를 취급하는 서로 다른 인접점포 간에 고객을 주고받는 현상을 의미한다.

 

  1) 현재의 지역후보의 적합지점

 

  2) 잠재적 발전성

 

  3) 고객의 중간유인

 

  4) 상거래 지역에 대한 적합지점

 

  5) 집중흡입력

 

  6) 양립성

 

  7) 경합성의 최소화

 

  8) 용지경제학



6. 후버의 입지효과 시간법칙

  - 좋은 상업입지는 투자한 자본과 노력에 대하여 충분한 이익을 확보해 준다.

  - 입지효과는 개점과 더불어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나타난다.

추천 1
전체댓글수 (2)
  • 도롱이
    좋아요
    0
    신고
    0

    ② 중심지 기능의 영향을 받는 공간적 한계 거리로 판매량 또는 수요량이 0이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

  • 답변 (0)
  • 도롱이
    좋아요
    0
    신고
    0

    (1) 소비자에 대한 유인력은 상점의 규모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단, 거리마찰계수는 2)

  • 답변 (0)

 

게시물 검색
올비즈소프트 | 박진오 |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424번길 72, 1209호(운서동, IBC 디오빌) | 사업자 : 217-01-58067 | 통신판매 : 2025-인천중구-0181호 |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버전
Copyright © 2014~2025 올비즈소프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