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험정보 > 주요 지문학습
- [부동산학개론]
토지의 절대적 위치란 좌표로 결정되는 토지의 위치를 말하며, 상대적 위치는 주변의 토지이용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를 말한다. 토지이용에 있어서 절대적 위치보다 상대적 위치가 더 중요하다. - [부동산학개론]
토지는 자연물로서 가치를 지니는 존재이며, 유한하므로 일반경제이론의 적용이 어렵고, 그 이용에도 합리적 조정이 필요하며 그 사회성ㆍ공공성이 강조된다. - [부동산학개론]
1개의 건물이 주거와 근린생활시설 등이 결합되어 있어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는 건물을 복합건물이라 한다. - [부동산학개론]
토지와 정착물이 각각 독립된 거래의 객체이면서도 부동산활동상에 있어서는 일체로 취급하는 경우의 부동산을 복합부동산이라 한다.
- [부동산학개론]
부동산을 법률적, 경제적, 기술적 개념으로 체계화한 것으로 기술적 개념인 유형적 측면과 법률적, 경제적 개념인 무형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개념을 복합개념의 부동산이라 한다.
- [부동산학개론]
유량에는 순영업소득, 주택거래량, 아파트 생산량, 지대수입, 임대료 수입, 인구증가율, 신규주택공급량, 가계소득, 근로자의 임금 등이 있다.
-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수요자가 동일 가격수준에서 부동산의 수요량을 증가시켰다면 이를 부동산 수요의 변화라 한다. - [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공급법칙이란 단위당 가격과 공급량의 관계가 비례하므로 우상향하는 곡선이 된다. - [부동산학개론]
부동산은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으로 외부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개별성으로 인해 특정 부동산에 대한 시장정보의 수집이 어렵고 거래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 [부동산학개론]
부동성으로 인해 부동산시장이 지역적 시장이 되므로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상이한 규제와 통제를 받으며, 영속성은 소모를 전제로 하는 재생산 이론이나 사고방식을 적용할 수 없게 한다. - [부동산학개론]
주택은 세대의 구성원이 장기간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 및 그 부속토지를 말하며, 공동주택에는 아파트(5개층 이상), 연립주택(4개층 이하, 660㎡ 초과), 다세대주택(4개층 이하, 660㎡ 이하), 기숙사가 속한다. - [부동산학개론]
한 필지의 토지를 매입했다면, 특정 위치의 공중ㆍ지표ㆍ지하공간 및 그 안의 시설물 등 관리 가능 범위 내에서 일체의 특정 위치의 부동산을 구입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