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험정보 > 주요 지문학습
- [부동산학개론]
건축착공량과 부동산거래량은 부동산경기의 측정지표로 많이 사용되며, 미분양물량 등은 부동산경기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 [부동산학개론]
주택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완전비탄력적인 시장에서 주택가격이 10% 하락하면 주택공급자의 총수입은 반드시 10% 감소한다. - [부동산학개론]
생산(공급)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수록 공급의 임대료탄력성은 더 비탄력적이다. - [부동산학개론]
균형상태인 시장에서 건축원자재의 가격이 하락하면 균형거래량은 증가하고 균형가격은 하락한다.
- [부동산학개론]
수요가 증가할 때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일수록 가격은 더 오른다. - [부동산학개론]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완전탄력적인 경우에 공급이 증가하면, 균형임대료는 변화하지 않지만 균형거래량은 증가한다. - [부동산학개론]
나지란 토지에 건물 기타의 정착물이 없고 지상권등 토지의 사용ㆍ수익을 제한하는 사법상의 권리가 설정되어 있지 아니한 토지를 말한다. - [부동산학개론]
지상에 건축물이 있거나 건축물을 바로 설치할 수 있도록 기반시설이 완비된 토지로서, 주거용ㆍ상업용ㆍ공업용으로 이용 중이거나 이용가능한 토지를 택지라 한다. - [부동산학개론]
토지에 정착되어 있고 매년 경작의 노력을 요하지 않는 나무, 자연식생, 다년생 식물 등은 부동산의 정착물로 간주되어 부동산의 매매시에 함께 양도된다. - [부동산학개론]
토지의 소유권은 정당한 이익이 있는 범위 내에서 토지의 상하에 미친다.(민법 제 212조) - [부동산학개론]
수요의 증가가 공급의 증가보다 큰 경우, 새로운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거래량도 증가한다. - [부동산학개론]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실물자산의 가격상승으로 화폐자산의 실질 구매력이 하락되어 부동산에 대한 환물심리가 커져 자산 구성에 있어 부동산 비중이 커진다. - [부동산학개론]
주택유량의 공급량은 일정기간 시장에 공급되는 주택의 양이며, 주택저량의 공급량은 일정시점에 시장에 존재하는 주택의 양이다. - [부동산학개론]
임대료가 인상되면, 다른 재화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하락하여 다른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는 것은 대체효과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