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들이 채권시장 수익률의 하락을 예상할 때, 가중평균상환기간(duration)이 긴 저당담보부증권의 가격이 더 크게 하락한다고 하는 주장(①)**은 잘못되었습니다. 실제로는 수익률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긴 duration을 가진 채권이나 MBS의 가격은 상승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수익률이 하락하면, 현재의 더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는 긴 duration의 채권이나 MBS는 더 매력적이 되어 가격이 상승합니다. 채무불이행위험이 없는 저당담보부증권의 가격이 채권시장 수익률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주장(②) 역시 잘못되었습니다. 모든 채권이나 MBS는 시장 수익률의 변화에 따라 가격이 변동합니다. 채무불이행 위험이 없다 하더라도, 시장 수익률이 상승하면 가격은 하락하고, 시장 수익률이 하락하면 가격은 상승합니다. **동일위험 수준의 다른 투자수단들의 수익률이 상승하면 저당담보부증권의 가격이 상승한다는 주장(③)**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반대로, 다른 투자수단의 수익률이 상승하면 해당 투자수단으로 자금이 이동하면서 저당담보부증권의 상대적 매력도가 감소하여 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채권시장 수익률이 상승할 때, 가중평균상환기간이 긴 저당담보부증권의 가격 변동 정도가 작다고 하는 주장(④)**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중평균상환기간(duration)이 긴 채권이나 MBS는 시장 수익률의 상승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격 변동 폭이 더 큽니다. **고정이자를 지급하는 저당담보부증권은 채권시장 수익률이 상승하면 그 가격이 하락한다(⑤)**는 설명은 정확합니다. 고정 이자율 채권이나 MBS는 시장 수익률이 상승할 때 상대적으로 덜 매력적이 되므로 가격이 하락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