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컨버스(P. Converse)는 허프의 확률모형은 소비자들의 특정 상점의 구매를 설명할 때 실측거리, 시간거리, 매장규모와 같은 공간요인뿐만 아니라 효용이라는 비공간요인도 고려하였다. ㄴ. 호이트(H. Hoyt)는 저소득층의 주거지가 형성되는 요인으로 도심과 부도심 사이의 도로, 고지대의 구릉지, 주요 간선도로의 근접성을 제시하였다. 호이트의 선형이론 1) 선형이론의 의의와 주요내용 (1) 호이트가 동심원이론을 보완하고 수정하여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지역분화를 설명하고 있다. (2) 중심업무지구로부터 도매ㆍ경공업지구, 저급주택지구, 중급주택지구, 고급주택지구가 주요 교통노선에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확대되면서 배치된다는 이론이다. (3) 고급주택지구는 기존의 도심지역과 주요 교통노선을 축으로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에서 선형으로 발전한다. (4) 저급주택지구는 도심주변이나 도매ㆍ경공업지구 인근지역에서 선형으로 발전한다. (5) 중급주택지구는 고급주택지구와 저급주택지구 사이에서 선형으로 발전한다. (6) 도시주거공간의 유형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주택가격의 지불능력이다. (7) 상류층은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에 주거입지를 선정하는 경향이 있다. (8) 교통의 발달, 소득의 증가 등은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이다. 2) 선형이론의 문제점 (1) 고소득계층의 고급주택지구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 (2) 사회적ㆍ문화적인 토지이용의 제약요인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3) 단순히 과거의 경향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도시성장의 추세를 분석하기에는 다소 미흡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