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8회 기출문제 부동산학개론 17번 1번 2번 3번 4번 5번 6번 7번 8번 9번 10번 11번 12번 13번 14번 15번 16번 17번 18번 19번 20번 21번 22번 23번 24번 25번 26번 27번 28번 29번 30번 31번 32번 33번 34번 35번 36번 37번 38번 39번 40번 16번 | 17번 | 18번 본문 17. 도시공간구조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7. 도시공간구조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은 교통의 발달이지 소득의 증가와는 관계가 없다. ② 버제스(E. Burgess)는 도시의 성장과 분화가 주요 교통망에 따라 확대되면서 나타난다고 보았다. ③ 호이트(H. Hoyt)는 도시의 공간구조형성을 침입, 경쟁, 천이 등의 과정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④ 동심원이론에 의하면 점이지대는 고급주택지구보다 도심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다. ⑤ 다핵심이론의 핵심요소에는 공업, 소매, 고급주택 등이 있으며, 도시성장에 맞춰 핵심의 수가 증가하고 특화될 수 있다. 정답체크 1번 2번 3번 4번 5번 확인 해설보기 ⑤ 다핵심이론의 핵심요소에는 공업, 소매, 고급주택 등이 있으며, 도시성장에 맞춰 핵심의 수가 증가하고 특화될 수 있다. 번호구분내용1정답⑤ 다핵심이론의 핵심요소에는 공업, 소매, 고급주택 등이 있으며, 도시성장에 맞춰 핵심의 수가 증가하고 특화될 수 있다.2해설① 호이트(H. Hoyt)의 선형이론은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은 교통의 발달과 소득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② X③ 버제스(E. Burgess)는 도시의 공간구조형성을 침입, 경쟁, 천이 등의 과정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④ 버제스(E. Burgess)의 동심원이론에 의하면 도시는 중심지에서 동심원상으로 5개 지역(중심업무지구, 점이지대, 저소득주거지역, 고소득주거지역, 통근자지역)으로 확대된다.3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