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호이트(H. Hoyt)의 선형이론(섹터이론) 맞음: 동심원이론의 단핵 중심지를 기본으로 하되, 교통축을 따라 섹터(부채꼴) 형태로 발전 동심원이론을 발전시킨 이론 ✓ ② 크리스탈러(W.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 틀림: 중심지이론은 육각형 시장권역을 설명하는 이론 고차·저차 중심지의 계층구조는 맞지만 동심원이론이 아님 동심원이론은 버제스(E. Burgess)의 이론 ③ 해리스(C. Harris)와 울만(E. Ullman)의 다핵심이론 맞음: 도시가 여러 개의 핵심지역(CBD, 부도심 등)을 중심으로 발전 단일 중심이 아닌 다핵구조 강조 ✓ ④ 베버(A. Weber)의 공업입지론 맞음: 원료지수(Material Index) = 원료무게/제품무게 MI > 1: 원료지향, MI < 1: 시장지향 ✓ ⑤ 허프(D. Huff)모형 맞음: 거리마찰계수(λ)는 거리저항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도로환경, 지형, 교통수단 등에 따라 달라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