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혼동에 의한 물권소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③ ㉢ ㉣
번호
구분
내용
1
사례 만들기
‘갑’-X 토지(10억원 상당) 소유자
‘을’-지상권자(30년 설정됨)
‘병’-저당권자(3억원)
매매계약 체결
매도인-‘갑’
매수인-‘병’
등기이전
‘병’-X 토지 소유자
‘을’-지상권자
‘병’-저당권자
이 경우
‘병’ 저당권이 굳이 있을 필요가 있을까?
이제 반대의 경우를 보면
매매계약 체결
매도인-‘갑’
매수인-‘을’
등기이전
‘을’-X 토지 소유자
‘을’-지상권자
‘병’-저당권자
이 경우
‘을’ 지상권은?
만약 ‘을’ 지상권이 혼동으로 소멸하면
‘병’ 저당권은 전액 보장 받을 수 없는 저당권 권리가 1순위로 될 수 있음
부당함!!!
그래서 이 경우 지상권은 소멸하지 않는다.
2
근거조문/이론
(혼동으로 인한 물권의 소멸)①동일한 물건에 대한 소유권과 다른 물권이 동일한 사람에게 귀속한 때에는 다른 물권은 소멸한다. 그러나 그 물권이 제삼자의 권리의 목적이 된 때에는 소멸하지 아니한다.
②전항의 규정은 소유권이외의 물권과 그를 목적으로 하는 다른 권리가 동일한 사람에게 귀속한 경우에 준용한다.
③점유권에 관하여는 전2항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3
요건
4
핵심단어 이해
5
문장 만들기
6
판례
대법원판결
[배당이의]
어떠한 물건에 대한 소유권과 다른 물권이 동일한 사람에게 귀속한 경우 그 제한물권은 혼동에 의하여 소멸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본인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하여 그 제한물권을 존속시킬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혼동으로 인한 물권의 소멸)제1항 단서의 해석에 의하여 혼동으로 소멸하지 않는다